[인터넷윤리학회 토론회] 2012년을 인터넷윤리文化(문화) 정착 원년 삼을 것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3:09
본문
Download : 120209101458_.jpg
Download : 120209101458_.jpg( 66 )
순서
한국Internet윤리학회와 공동의 目標(목표)를 가진 한국Internet진흥원(KISA·원장 서종렬)은 지난해 다양한 Internet 윤리 교육 및 Internet 윤리 로고, 캐릭터, 징글송 등을 개발·보급했다.
KISA Internet드림단 5000여명은 ‘Internet 윤리전파 전도사’로 활동했다. 선플달기 캠페인, 멘토링, Internet 지킴이, 기자단 활동 등을 전개했으며 이 같은 Internet드림단 활동은 올해 전자신문과 공조해 한층 확대된다
[인터넷윤리학회 토론회] 2012년을 인터넷윤리文化(문화) 정착 원년 삼을 것
KISA는 Internet윤리 교육사업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12월 교육과학기술부 주관의 ‘교육기부 기관’으로 선정됐다. 여기서는 악성댓글, 사이버폭력 등 유해정보로 인한 피해사례, 선플달기 체험 등 다양한 현장체험이 가능하다.
그간 KISA는 청소년 윤리교실, 순회강연, 창의적 체험학교 등을 개최했으며 교직원 온·오프라인 연수, 학부모 대상 Internet 윤리교육, 유아 Internet 교육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Internet 윤리교육을 진행했다.
레포트 > 기타
설명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m
또한 KISA는 여러 계층에서 Internet 윤리를 보다 쉽고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Internet 윤리 로고와 캐릭터, 징글송 등을 개발했다.
[인터넷윤리학회 토론회] 2012년을 인터넷윤리문화 정착 원년 삼을 것
[인터넷윤리학회 토론회] 2012년을 인터넷윤리文化(문화) 정착 원년 삼을 것
서울, 대전, 부산, 광주, 춘천 등 주요 지역 거점에서 이동형 Internet윤리 체험관을 운영해 지금까지 총 23만5000여명의 체험자를 맞았다.’
자료(資料):KISA
<표> KISA Internet 윤리교육 및 실적(2012년 말 기준)
서종렬 KISA원장은 “단편적으로 추진해왔던 Internet 윤리운동을 올해를 기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국민체감형 文化(culture) 운동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KISA는 수도권 위주의 활동에서 점진적으로 전국 규모로 체험관을 늘릴 방침이다. Internet윤리교육을 이수한 일선 교사를 Internet윤리 전담교사로 각 초중고에 배치할 계획이다.
‘2012년을 Internet 윤리 확산의 원년으로 삼겠다.





다. 교육기부 기관은 정부가 공교육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초·중학생 대상 체험교육을 실천한 모범기업, 기관 등을 지정해 ‘교육기부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다. 사이버폭력 상담센터는 사이버폭력에 시달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 치료 등을 진행한다. 또 ‘사이버폭력 상담센터’를 연내 KISA 내부에 설치, 일명 ‘사이버왕따’를 구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연초 교육 目標(목표) 2만8826명 대비 두 배가 넘는 6만6829명의 유아, 청소년, 학부모, 교직원에게 Internet 윤리 교육을 시행했다.
[인터넷윤리학회 토론회] 2012년을 인터넷윤리문화 정착 원년 삼을 것
KISA는 방송통신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 ‘Internet윤리 전담교사’를 신설을 제안했다. Internet 윤리로고, 캐릭터, 징글송 등은 롯데시네마 62개 극장, 세븐일레븐 200개 매장, 강남구 중구 등 2개 옥외 전광판, YTN 등 전국 주요 영화관, 편의점 스크린, 옥외전광판, 케이블 TV를 통해 홍보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