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군사통합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22:06
본문
Download :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hwp
1970년대에 들어와서도 북한은 전년대와 다름없이 군사건설 우선의 병진책을 추진하면서 군수산업을 더욱 확장하였다. 즉 북한은 소화기를 계속 개발함과 동시에 비반통포, 박격포,... ,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군사통합 대책
1960년대부터 북한은 4대군사노선을 채택하여 군수산업의 기반을 대폭 확대하였다. 현재 연생산 능력은 100발 정도 추정되고 있으나 1988년 이후의 생산실적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현재 북한의 군수공장은 …(省略)
Download :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군사통합 방안.hwp( 96 )
1960년대부터 북한은 4대군사노선을 채택하여 군수산업의 기반을 대폭 확대하였다. 특히 북한은 MIG-19기 1~3대를 test(실험) 용으로 생산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980년대부터 1993년 현재까지 북한은 공통무기인 각종 유도탄(대전차, 지대지, 지대함, 함대함, 지대함) 및 헬기, 훈련기 등의 조립 및 모방생산을 해오고 있다 특히 지대지 유도탄(SCUD)의 경우 북한은 1976년 이집트에서 SCUD-B를 도입하여 china(중국) 의 기술지원하에서 자체 개발 및 생산을 하였으며, 1986년부터 양산하기 처음 했다.
1960년대부터 북한은 4대군사노선을 채택하여 군수산업의 기반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 결과 북한은 1970년대 이후부터 구축함을 비롯하여 잠수함, 고속상륙정 및 포함 등을 자체 건조하기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전차, 장갑차, 자주포 등의 지상무기의 양산체제에 돌입하였다. 즉 북한은 소화기를 계속 개발함과 동시에 비반통포, 박격포,...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다. 그 결과 북한은 1960년대에 중, 소제를 모방하여 지상군 사단급편제 기본화기의 자급체제를 완비하게 되었다. 즉 북한은 소화기를 계속 개발함과 동시에 비반통포, 박격포, 방사포 등 중화기의 생산체제를 갖추기 처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