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뇌사의 개념과 각 나라의 입장 및 나의 결론.hwp
(8) 소아에서의 뇌사판정 기준을 다음과 같이 한다. 이 조작으로서도 자발호흡이 유발되지 않으면 호흡정지가 비가역적이라고 판정한다. 즉, 간뇌나 연수 등 다른 뇌가 이 역할을 담당하므로 대뇌가 활동하지 않는다 해서 꼭 심장 박동이 멈추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각종 뇌질환이나 교통사고 등…(skip)
2)뇌사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1) 요인 질환이 확정되어 있고 치료될 가능성이 없는 기질적인 뇌병변이 있어야 한다.
(2) 깊은 혼수상태(deep coma)로서 자발 호흡이 없고 인공호흡기로 호흡이 유지되고 있어야 한다.
뇌사의 정이
과 각 나라의 입장 및 나의 결론
레포트/기타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뇌사,개념과,각,나라,입장,나,결론,기타,레포트
Download : 뇌사의 개념과 각 나라의 입장 및 나의 결론.hwp( 63 )
순서
뇌사의 정이
과 각 나라의 입장 및 나의 결론
다.
(3) 치료 가능한 급성 약물중독(마취제, 수면제, 진정제, 근육이완제 등 기타 독극물), 대사성 또는 내분비성 장애 (간성혼수, 유독성 혼수, 저혈당 혼수, 뇌병증 등)의 증거가 없어야 한다.
(5) 쇽(shock) 상태가 아니어야 한다.
(7) 뇌파검사 : 위의 (1)(2)(3)(4)(5)(6)의 기준을 재확인한 후 뇌파를 검사하여 평탄뇌파 30분 이상을 확인한다.
뇌사의 개념과 각 나라의 입장 및 나의 결론 , 뇌사의 개념과 각 나라의 입장 및 나의 결론기타레포트 , 뇌사 개념과 각 나라 입장 나 결론
설명
뇌사
목차
1) 뇌사란 무엇인가?
2)뇌사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1. 선행 조건
2. 판정 조건
3. 뇌사판정 의사 (인력)
4. 뇌사판정 병원의 시설
3)뇌사에 대한 각국의 입장
① 미국
② 日本(일본)
③ 프랑스
우리나라의 입장
1) 뇌사란 무엇인가?
뇌사란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회복 불능의 상태를 말한다.
(4) 저체온 상태(직장온도 32`C 이하)가 아니어야 한다.
(6) 무호흡검사 : 자발 호흡이 소실된 이후 자발호흡의 회복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임상검사로서 100% 산소(O2) 혹 은 95% 산소 + 5% 이산화탄소(CO2)를 10 분간 인공호흡기로 흡입 시킨 후 인공 호흡기를 제거하고 100% 산 소를 기관내관을 통해 6 liter/min로 공급하면서 10분 이내에 혈압을 observation하고 혈액 PaCO2 50 torr 이상으로 상 승하게 됨을 확인한다. 그러나, 심장 박동, 호흡, 내장의 운동 등은 대뇌가 간여하지 않는다. 단, 뇌파검사가 정확한 뇌파기준에 합당하게 검사한 뇌파를 신경과 전문의가 판독해야 한다. 인간의 뇌는 대뇌, 소뇌, 간뇌, 연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뇌는 의식적인 활동을 책임지는 부분이므로 대뇌가 활동하지 않으면 움직일 수도 생각할 수도 없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