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歷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8:28
본문
Download : 과학의 역사_2106061.hwp






과학의,역사,생활전문,레포트
1. 고대의 성립과 과학 기술
청동기 시대의 농부 - 대전 청동기 문양의 밭가는 인물
쇠 부리는 왕자 - 석탈해
음악의 하모니는 곧 하늘의 도이니라 - 우륵
승의 - 충담사와 찬기파랑가
2. 중세의 자연관과 인간의 노력
땅도 살아 있다 - 지리술사 김위제
아이구 추워라, 솜옷 생각나는구나 - 문익점
매년 농사짓는 법 - 정초
하늘을 그대로 갖고 싶다 - 이천과 장영실
3. 과학 지식의 요약와 기술의 발달
은을 만들자 - 김검동과 김감불
해부를 하다니, 천벌을 받을라고 - 전유형과 임언국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 허준
4. 국력의 재정비와 과학기술
모내기를 하자 - 신속
하늘을 아는 자 누구인가 - 송이영
아이고, 어려운 수학 - 최석정과 홍정하
5. 과학, 기술의 힘이 발견되다
기술은 곧 힘이다 - 정약용
지구가 돈다고? - 홍대용
어족 조사의 선구자 - 정약전
6. 새로운 세계의 모델을 위하여
근대적 지도의 탄생 - 김정호
사상의학과 근대 인간의 탄생 - 이제마
근대적 학문의 출발 - 최한기
7. 근대화와 과학 기술
곰보를 막아라 - 지석영
전기, 전신, 전화 근대화의 상징 - 상운
과학 운동의 기수 - 김용관
먹는 것이 곧 하늘이다
청동기 시대의 인간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동기 시대에 대한 우리의 빈약한
상상력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 상영된 영화 두 편을 우선 떠올려 보자.
먼저 장자끄 아노 감독의 [불을 찾아서]. 우리는 이 영화를 통해서 `불` 이
고대인들의 생활에 얼마나 큰 effect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는
목숨을 건 사투였다.
이 영화에서도 보여지듯이 최초의 인간은 그저 야생의 풀이나 열매를 따먹었다. 물론 배가 고플 때는 큰 동물에게도 떼를 지어 공격했다. 가장 훌륭한 사냥 전사가 앞장서 한 손에 무기를 들고
긴장된 가운데 전진한다.
선사 시대의 유물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한반도에서도 위와
같은 모습은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농사보다는 여전히 사냥과 낚시가 식량 공급의 주된 방법이었다. 오늘날의 이름짓는
방법과는 달리 `주먹 쥐고 일어서` 라든가 `늑대와 춤을` 등이 자신과 남을
구별하는 이름의 기본이었다는 점이다.과학의역사 , 과학의 역사생활전문레포트 , 과학의 역사
Download : 과학의 역사_2106061.hwp( 60 )
설명
과학의 歷史
과학의歷史
순서
고대, 중세, 근대의 과학의 歷史에 대해 설명(說明)하고 있다아
레포트/생활전문
다.
한국의 고대 세계에서도 이름짓는 방식이 이와 별 차이 없었을 거라고 추측해
본다면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주인으로 `곰처럼 끈기 있게` 와 `호랑이의
용맹으로` 라는 이름의 두 사람을 생각할 수 있다
곰과 호랑이를 각각 토템으로 믿는 부족의 두 사람이 결혼해서 `단단하고
우아한 청동처럼` 이라는 아이를 낳았다.
때로는 무리를 지어 사냥하기도 했는데, 그 대상은 주로 약하고 순한
짐승들이었다.
`단단하고 우아한 청동처럼`…(생략(省略))
고대, 중세, 근대의 과학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사는 동료들에게 손짓 또는 몸짓으로 전방의 동물이
어떤 종류이고 어떤 상태인지 알려준다. 이 고대의 가족은 신석기 시대를 막
지나서 농사짓는 방식을 깨우치는 한편 사냥기술을 더욱 향상시켰다. 쥐죽은듯한 긴장감 속에 가끔 풀벌레
소리나 이름 모를 새들의 울음소리만이 하늘을 가른다.
한편 우리 나라에서도 많은 관객을 동원했던 영화 [늑대와 춤을] 은 우리에게
인디언들의 이름과 관련된 재미있는 사실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