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토질 상대밀도 實驗(실험)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22:44
본문
Download : [레포트] 토질 상대밀도 실험 레포트.hwp
모래나 자갈, 즉 조립토에 대하여 조밀한(또는 느슨한)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척도로서 상대밀도라는 지수를 사용한다. 상대밀도를 구하는 방법으로는 공극비로 구하는 방법과 건조밀도로 구하는 방법이 있따
2. experiment(실험) 목적
조밀한 조립토는 일반적으로 강도는 크고 침하는 적게 발생하여 토목공사 지반으로서 우수한 特性(특성)을 가지고 있고, 느슨한 흙은 그 반대이다.자. 시료 캔 상부의 모래를 곧은 날로 조심해서 깍아낸다.
차. 시료 캔 외부에 뭍은 모래를 깨끗이 털어낸 후 시료 캔과 시료의 무게를 측정(measurement)한다. 그 외 시료 캔 안에 모래가 가득 차지 않았거나, 측정(measurement) 시 시료 캔 바깥의 모래의 중량첨가 등이 experiment(실험) 동안의 오차 요소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따
흙의 상태
very loose
very dense
7. experiment(실험) 사진
시료 흙
시료 흙의 무게 측정(measurement)
깔대기를 이용한 rdmin 측정(measurement)
깔대기를 이용한 rdmin 측정(measurement)
체를 이용한 rdmax 측정(measurement)
체를 이용한 rdmax 측정(measurement)
설명
다.
카. 같은 방법으로 다~차 단계를 3회 experiment(실험)한다.
5. experiment(실험) 결과의 요점
40.5g
부피 0.49cm3
712.1g
714.5g
719.5g
701.3g
707.7g
798.2g
789.5g
803.9g
1. 간극비에 의한 公式(공식)
emax =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
emin =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
e = 현재의 간극비 (자연상태의 간극비)
2. 건조단위중량에 의한 公式(공식)
rd = 현재의 건조단위중량 (자연상태의 건조단위중량)
각 캔의 건조 단위 중량을 구하면
1370.612
1375.51
1385.714
1356.122
1348.571
1361.633
1546.327
1528.571
1557.959
1번캔의 상대밀도
2번캔의 상대밀도
3번캔의 상대밀도
experiment(실험) 결과의 값은 대략 8%~16%의 값으로 측정(measurement) 되었다. 게다가 experiment(실험)자가 직접 깔대기를 들고 하는 experiment(실험)이라 낙하고가 일정하지 않았다. experiment(실험)을 통해, 체를 이용한 자유낙하를 통해 간극비가 줄어들어 상대밀도를 측정(measurement)하였다. 점성이 없는 사질토의 다짐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다짐 후 느슨한 상태인지 조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대부분 대단히 느슨한 조밀의 정도.
6. conclusion 및 고찰
오늘 experiment(실험)실에서 사질토의 자연 상태의 조밀도, 즉 촘촘하거나 느슨한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값인 상대밀도를 측정(measurement)하는 방법에 관하여 배웠다. 토질사이에 미세한 틈이 존재하고 체를 이용한 자유낙하를 통해 체의 알갱이를 줄여 더 많은 양의 모래가 들어가게 된다 즉, 밀도가 증가 하게 된다
시료 캔에 모래가 자유낙하 될 때에 시험장소의 진동을 통제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밀도가 더 커졌을 가능성이 있따 또한 깔대기의 직경이 꽤 컸는데 모래가 그 구멍을 빠져나갈 때의 양이 일정치 않아 모래 입자들의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보고서] 토질 상대밀도 實驗(실험) 보고서
레포트,토질,상대밀도,실험,레포트,건축토목,실험과제
순서
Download : [레포트] 토질 상대밀도 실험 레포트.hwp( 65 )
[레포트] 토질 상대밀도 실험 레포트 , [레포트] 토질 상대밀도 실험 레포트건축토목실험과제 , 레포트 토질 상대밀도 실험 레포트
실험과제/건축토목
[보고서] 토질 상대밀도 實驗(실험) 보고서
1. 개요
상대밀도는 현장에서 사질토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서 흙이 얼마나 느슨하고 조밀한 정도인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조립토(모래, 자갈)가 느슨한 상태에 있는지 조밀한 상태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조밀의(또는 느슨한)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모래와 같은 조립토에서 토립자의…(투비컨티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