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수 [ 烽燧 ]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1:45
본문
Download : 봉수 [ 烽燧 ]에 대하여.hwp
이 밖에 직봉[直線烽燧] ·간봉[間線烽燧]으로 구분되는데, 직봉은 기간(基幹) 선로상의 것이고 간봉은 그 보조선이며, 이는 다시 본봉(本烽) 사이의 중간지역을 연결하는 장거리의 것과 제일선의 연대로부터 본진(本鎭) ·본읍(本邑)에 보고하는 단거리의 것으로 구분되었다.
봉수의 관장은 중앙의 경우는 병조의 무비사(武備司)가 지방의 경우는 observation사 ·수령과 병사(兵使) ·수사(水使) ·도절제사 ·순찰사 등 모든 군사책임자가 그 임무를 맡았다. 세종은 집정 초기부터 봉수의 거수(炬數:擧火數), 봉화군의 정원 등 여러 규정을 정비하고, 연변(沿邊)봉수의 연대(烟臺) 축조, 봉수망(烽燧網)의 획정 등 체제를 정비 · 강화하였다.봉수2
설명
Download : 봉수 [ 烽燧 ]에 대하여.hwp( 95 )
,기타,레포트
봉수 [ 烽燧 ]에 대하여 쓴 資料입니다. 이 3종류의 봉수는 시설 ·정원 ·처벌규정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이러다가 조선 세종 때에 이르러 봉수제는 크게 정비되고 발전된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조선의 봉수는 그 시설상 전국의 모든 봉수가 집결하는 중앙봉수인 서울 목멱산(木覓山:南山)의 경봉수(京烽燧), 해륙 ·변경의 제l선에 위치하여 연대라고 호칭된 연변봉수(沿邊烽燧), 경봉수와 연변봉수를 연결하는 내지봉수(內地烽燧)의 셋으로 구분되었는데, 이 중 연변봉수의 임무 수행이 가장 고되었으며, 내지봉수는 중간봉수로서 수적(數的)으로 절대다수였다. 봉수2 , 봉수 [ 烽燧 ]에 대하여기타레포트 ,
봉수 [ 烽燧 ]에 대하여
순서
봉수제의 originate 는 오래된 듯하며, 중국(中國)에서는 25~27년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에 이미 상당히 정비된 봉수제도가 있었고, 한국에서도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에 봉화 ·봉산성(烽山城) 등의 기록이 보여 삼국시대부터 있어온 것으로 짐작되나 확실한 것은 고려 의종(毅宗) 이후부터이다. 1149년(의종 3)에 서북병마사 조진약(曺晉若)의 상주(上奏)에 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평상시에는 l번씩 올리고, 2급(二急)에는 2번, 3급(三急)에는 3번, 4급(四急)에는 4번씩 올리도록 하고, 각 봉수소(대)에는 방정(防丁) 2명, 백정(白丁) 30명을 배치하며, 그들에게 평전(平田) l결(結)씩을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 수령(守令…(투비컨티뉴드 )
다.
레포트/기타
![봉수%20[%20烽燧%20]에%20대하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B%B4%89%EC%88%98%20%5B%20%E7%83%BD%E7%87%A7%20%5D%EC%97%90%20%EB%8C%80%ED%95%98%EC%97%AC_hwp_01.gif)
![봉수%20[%20烽燧%20]에%20대하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B%B4%89%EC%88%98%20%5B%20%E7%83%BD%E7%87%A7%20%5D%EC%97%90%20%EB%8C%80%ED%95%98%EC%97%AC_hwp_02.gif)
![봉수%20[%20烽燧%20]에%20대하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B%B4%89%EC%88%98%20%5B%20%E7%83%BD%E7%87%A7%20%5D%EC%97%90%20%EB%8C%80%ED%95%98%EC%97%AC_hwp_03.gif)
봉수 [ 烽燧 ]에 대하여 쓴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