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학기 행정학개론 출석대체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6:46
본문
Download : 20121출대_행정1_행정학개론.pdf
방통대,방송대,출석대체시험,방통대출석대체시험,행정학개론,행정학개론시험,방통대행정학개론시험,방송대행정학개론출석대체시험,행정학개론출석대체시험
Download : 20121출대_행정1_행정학개론.pdf( 54 )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2012년 1학기 행정학개론 출석대체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제3장 정책의 의의와 정책과정 제4장 정책의 형성 제5장 정책의 집행 제6장 정책의 평가 제9장 조직이론의 변천 제10장 조직의 구조와 기술 제11장 조직과 인간 -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순서
설명
제3장 정책의 의의와 정책과정 1. 정책의 의의 (1) 정책의 의미 ① 특정 분야에 있어서 政府활동의 일반적인 goal(목표) 와 이러한 goal(목표) 가 달성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바람직한 상태 ② 政府의 활동분야: 교육정책, 경제정책, 사회정책, 외교정책, 국방정책 등 (2) 정책의 개념 ① goal(목표) , 수단, 가치, 협상, 타협 등을 포함 ② definition : 권위 있는 政府기관에 의해 결정된 공적 goal(목표) 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③ 특징 - 정책은 결정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일련의 결정을 포함, 관련된 결정간의 상호작용 - 정책과 관련된 의도와 행동 간의 차이: 정책결정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정책행위는 작위와 부작위를 포함 - 의도하지 않은 결과나 예상조차 못했던 결과를 가져오기도 함 - 명시적 ․ 묵시적인 goal(목표) 를 지녀야 함 - 장기간에 걸친 과definition 산물 - 政府의 주된 활동: 공공정책은 政府기관에 의하여 합법화된 정책. 정책합법화의 대표적 기관은 국회 (3) 정책의 구성요소 ① 정책goal(목표) ㉠ 정책을 통하여 이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future(미래) 상태 ㉡ 상위goal(목표) 와 하위(세부)goal(목표) - 상위goal(목표) : 보다 광범위한 goal(목표) , 정책기간이 명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대상 집단이 광범위 - 하위goal(목표) :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므로 조작적 definition 로 표현이 가능, 기간과 대상 집단이 구체적으로 명시 ㉢ 기능(역할): 정책형성과정과 정책집행과definition 지침 제공, 정책평가 기준 제시 ② 정책수단(= 정책대안) - 하나의 정책goal(목표) 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강구되므로 복수의 수단이 사용됨 - 정책수단의 고려과정에서 정책goal(목표) 의 효능성, 능률성, 형평성, 실현가능성 등이 평가됨 ③ 대상집단: 정책수단의 고려는 또한 정책수단으로 인해 이익을 보는 사회의 집단과 손해를 보는 집단 (수혜집단, 피해집단) 2. 정책의 유형 (1) 개요 ① 분류자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 다양하게 유형화됨 ② 정책의 분류기준: 기능적 분류 - 長點: 政府의 조직을 잘 반영, 경험과 사고를 정치하여 이해하기 쉬움 - 단점: 기능적 분류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정책 존재. 지나치게 세부적 분류로 정책연구의 목적인 일반적 원리 발견에 도움이 되지 않음 (2) 분배정책 ① 국민에게 권리, 이익, 서비스 등을 분배하는 것(ex. 저리융자, 사회간접자본 구축, 무의촌지역 보건진료) ② 수단: 현금 지급, 현물 지급, 세제상의 혜택, 저리융자, 인가, 면허 등 - 중략 -
제3장 정책의 의의와 정책과정 제4장 정책의 형성 제5장 정책의 집행 제6장 정책의 평가 제9장 조직理論의 변천 제10장 조직의 구조와 기술 제11장 조직과 인간 - 출제예상문제 및 해설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