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7:05
본문
Download :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hwp
는 활동, 그리고 그 활동의 결과를 통해서만 스스로를 드러낼 뿐인 이 원리를 피히테
둘째, 경험적인 조건에 전쳐 제약되지 않기에 설명(explanation)될 수 없는 ‘자아’를 어떻게 얘기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해결책 - 직접적으론 경험되지도 않고 인식되지도 않으나 주체와 대상을 연관지어 주
비아의 정립’이라 요약된다
순서
과 모순이 나타난다.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553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84%9C%EC%96%91%EC%B2%A0%ED%95%99%EB%A1%A0%5D%20%ED%94%BC%ED%9E%88%ED%85%8C%EC%9D%98%20%EA%B7%BC%EB%8C%80%20%EC%B2%A0%ED%95%99%EA%B3%BC%20%EC%9E%90%EC%95%84-5538_01.gif)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553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84%9C%EC%96%91%EC%B2%A0%ED%95%99%EB%A1%A0%5D%20%ED%94%BC%ED%9E%88%ED%85%8C%EC%9D%98%20%EA%B7%BC%EB%8C%80%20%EC%B2%A0%ED%95%99%EA%B3%BC%20%EC%9E%90%EC%95%84-5538_02_.gif)



· 피히테에 있어서의 두 가지 문제
· 선험적 주체에 대해 무언가 말할 수 있다는 건, 선험적 주체에 관련되어 인식하고 판단
는 ‘자아’라 한다. 피히테에게 철학이란 바로 이 ‘지식학’을 말한다. 이는 ‘자아의 부정-
첫째, 자아와 비아(非我)를 어떻게 통일적으로 설명(explanation)할 것인가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
설명
자아의 복권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
· 칸트는 사물 자체와 현상이라는, 서로 배타적인 것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정합성
수 있따 경험이나 인식의 절대적인 출발점이자 근거는 절대적 자아이다. 이는 ‘자아의 정립’이라고 요약할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
· 지식학의 구성요소 - 테제, 안티테제, 진테제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
· 둘째 테제 - “자아는 비아를 반정립한다. - 사물 자체가 인식되지 않는 무엇
피히테의 철학적 테제
하며 말하는 또 다른 주체가 먼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자아 자신 안에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이다. 나아가 자아는 비아를 자기 안에서 반정립
심이며, 이런 점에서 ‘지식학’이란 “자신의 본질적인 통일성 안에서 자기 스스로를 서
한다” 자아는 비아를 자기와는 대립되는 것으로 세운다는 말이다. 그리고 바로 이 자아의 활동을 연구하는 것이 바로 지식 연구의 핵
Download : [서양철학론] 피히테의 근대 철학과 자아.hwp( 64 )
이 라면 사물 자체가 있다는 건 어떻게 인식했는가 하고 반문함.
야 할 것인가?
술하는 지(知)”하고 한다.
다.
· 첫째 테제 - “경험 등 모든 사실의 설명(explanation)에 근거가 되는 이 자아는 다른 무엇보다도
· 칸트의 사물 자체는 논리적으로 성립될 수 없다. 즉 대상과 주체의 동일성이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