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文化산업 백서` 발간-관련 예산 10년새 34배 폭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3:55
본문
Download : 050506-1.jpg
주요 정책실적으로는 우선 관련 법제도 improvement이 꼽힌다.
`2004 문화산업 백서` 발간-관련 예산 10년새 34배 폭증
이밖에 백서는 △전문 인력 양성 △culture산업 분야 산학 협력 △culture콘텐츠 기술 개발 △디지털 유통 체계 마련 △culture 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지방 culture산업 육성 △해외시장 진출 지원 △한류 지속화 및 확산 등을 주요 culture산업 정책 추진실적으로 꼽았다. culture산업 진흥 정책 관련 예산의 효율성을 증명하려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culture산업을 벤처 사업의 시각에서 접근해 집적센터 설립 등 다양한 진흥정책을 펼친 것도 성과로 평가된다
정부의 culture산업 관련 예산이 10년간 34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ulture산업진흥기본법’ ‘저작권법’‘음반·비디오물및게임물에관한법률’‘조세특례제한법’ 등을 개정해 산업 발전을 배후지원했다. 종사자 수는 47만 명으로 나타났다.
Download : 050506-1.jpg( 66 )
`2004 文化산업 백서` 발간-관련 예산 10년새 34배 폭증





특히 지난 99년에는 culture산업 예산이 전년대비 6배나 증가하며 1000억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듬해에도 1787억 원의 예산이 관련 분야에 책정됐다.
culture산업 예산은 실질적인 culture산업 정책 추진 10년째이던 지난해 아쉽게도 1725억 원으로 감소했으나 올 해 다시 역대 두 번째 수준인 1911억 원으로 증가하면서 culture부 총 예산의 12.1%를 차지하고 있다. 증가한 예산만큼이나 culture부 내 위상도 달라졌다는 평가다. 이는 99년 2월 ‘culture산업진흥기본법’의 발효와 함께 정부의 culture산업 육성정책이 본격 가동했음을 잘 보여준다.
`2004 文化산업 백서` 발간-관련 예산 10년새 34배 폭증
`2004 문화산업 백서` 발간-관련 예산 10년새 34배 폭증
정진영기자@전자신문, jychung@etnews.co.kr
순서
레포트 > 기타
다.
culture부는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흥정책의 초점을 과거의 ‘육성 위주’에서 ‘산업 체질 강화’와 ‘산업 구조 선진화·고도화’에 맞춰 세계 culture산업 5대 강국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goal)다.
culture산업 정책 10년의 또 다른 성과는 게임·캐릭터·만화·공연 등 과거 주목을 받지 못했던 분야들을 새로운 culture산업 장르로 정착시켰다는 사실이다.
설명
culture부는 급증한 예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쳐왔다.
이처럼 culture산업 정책의 초기단계에서 비약적으로 늘어난 예산은 생산기반 시설의 확충 등 culture산업 육성의 기반 조성에 집중적으로 사용됐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culture 산업은 본격적인 성장의 궤도에 올라서게 됐다.
한편 2003 회계연도 결산 기준으로 출판·만화·음악·게임·영화·애니메이션·방송·광고·캐릭터·Internet 모바일 외 기타 등 10개 culture산업 분야 매출 규모는 44조원, 수출액은 6억 달러릏 각각 기록했다.
4일 culture관광부가 culture산업 정책 10주년을 기념해 발간한 ‘2004 culture산업백서’에 따르면 지난 1994년 culture부 내에 culture산업국이 신설될 당시 54억원에 불과했던 관련 예산이 10년 후인 2003년 1890억 원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물적 담보력이 떨어지는 영세기업을 위한 ‘기술신용보증제도’ 도입도 눈에 띈다.